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ogical statement
- 모순명제
- Circuit
- 모두의네트워크정리
- full adder
- statement equivalence
- 이진법 십진법 변환
- Gate
- 명제
- half adder
- Decimal notation
- cnn
- Contradiction
- Binary notation
- 명제 동치
- CNF
- Tautology
- relationaldatabaseschema
- 모두의네트워크
- GPT-1
- 모두의네트워크요약
- 진리표
- Digital Logic Circuits
- 항진명제
- truth table
- ermodel
- 십진법
- dnf
- 써킷
- Sentiment Analysis
- Today
- Total
목록모두의네트워크요약 (6)
NLP Learner in Switzerland
3장에서는 OSI모델의 물리 계층을 봤고, 4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 5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 6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전송 계층, 7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응용 계층을 차례로 본 후에, 8장에서는 이 모두를 포함해서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에 대해 보았다. 지금까지는 컴퓨터들을 랜 케이블로 연결해서 통신하는 유선 랜 구조에 대해 보았다면, 9장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이용해 통신하는 무선 랜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파이 잡아서 쓰는 바로 그게 무선랜이다. 무선랜의 장점은 장점 단점 케이블이 엉키는 짜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고, 전파가 약하면 연결이 잘 안된다 랜 케이블이 닿지 않는 곳과도 통신 가능 해킹 위험이 높아 보안에 더 신경써야 ..
3장에서는 OSI모델의 물리 계층을 봤고, 4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 5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 6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전송 계층, 7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응용 계층을 본다. 전송 계층까지 거치면서 데이터가 잘 도착을 했다. 이제 어떤 애플리케이션으로 보내야 하나?를 이해하려면 우선 애플리케이션을 이해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서버)로 나뉘어진다. e.g. 메일프로그램(클라이언트) & 메일서버프로그램(서버),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 & 웹서버프로그램(서버) 응용 계층의 역할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가 이해할 수 있는 메시지 형태로 변환을 해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3장에서는 OSI모델의 물리 계층을 봤고, 4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 5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 6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전송 계층을 본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라우터가 필요하다고 했었다. (5장 참고) 하지만 라우터의 라우팅 기능으로도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라우팅 정보가 잘못될 수도 있고, 전송 중에 라우터 문제나 패킷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필요한 것이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2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1. 오류를 점검하고, 오류 발생시 데이터 재전송을 요청하는 역할 2.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역할(e.g. 이메일? or 웹브라우저?) 하지만 모든 상황에..
3장에서는 OSI모델의 물리 계층을 봤고, 4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을 봤으며, 5장에서는 그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이다. 네트워크 계층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더넷은(4장 참고) 같은 네트워크간에 데이터 전송은 가능하지만,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로는 전송할 수 없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라우터(Router)라는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하다. 스위치나 허브를 사용하면 동일한 네트워크가 되버린다.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터는 네비게이션이다.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의 길을 알려준다. 라우터를 사용하면 거리에 관계없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
데이터의 송수신은 데이터(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되며, 받는 쪽에서 다시 비트열로 변환하여 인식한다. 즉, 보내는 쪽 : 데이터 ---> 전기신호 / 받는 쪽 : 전기 신호 ---> 데이터 어디서 변환할까? OSI모델의 1계층인 물리 계층에서. 어떤 형태의 전기 신호일까? 전기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는데, 아날로그 신호는 전화나 라디오에 쓰인다. 네트워크 통신 데이터는 0과 1만 가지므로 막대모양의 디지털 신호로 전송이 된다. 어떻게 전송될까? 랜카드를 통해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 랜(LAN)케이블 = 랜선) 데이터가 흘러가는 물리적인 선로. 구리선 여덟개를 두개씩 꼬아 만든 네 쌍의 전선형태이다. 인터넷 연결하려면 랜선 꼽아야지. 할 때 그 랜선이다..
프로토콜(Protocal)은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주고받기=송수신)을 하기 위한 규칙이다. 그럼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주고받는 규칙은 어떻게 생겼을까?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만든 OSI모델은 서로 회사가 달라도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표준 규격이다. 7계층(레이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신 측의 7계층(위▶아래) > 수신 측의 7계층(아래▶위)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현재의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모델은 TCP/IP모델이다. OSI모델과의 차이는 아래 그림과 같다. TCP/IP모델은 4개의 계층(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계층안에 서로 다른 계층간에는 영향을 줄 수 없는 독립된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다..